본문 바로가기
콜드브루라이프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상환 유예 제도란?

by 문고정 2021. 12. 27.
반응형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상환 유예 제도 알아보기

 

학자금 대출로 학교를 졸업하고 취업을 하게 되면 이제 빚을 갚기 시작합니다. 대출은 사실 성실하게 상환할 경우 신용에 오히려 좋은 영향을 줍니다. 신용카드와 대출은 내 수준에 맞게 적절히 이용하면 신용점수가 높아지고 또 다른 은행거래가 수월하게 됩니다.

 

하지만 대출이 있다는 심적 부담은 계속 가질 수 있겠죠. 사실 대출이 나쁜 게 아닌데 저도 이런 생각 때문에 일찍 집을 사지 못한 걸 굉장히 후회합니다. 지금이야 대출 규제도 심하고 경기가 안 좋은 상태지만 경제는 사이클이 있고 기회는 또 올 거라고 봅니다.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상환 유예 제도

 

학생 때 받았던 학자금 대출을 바로 취업해서 갚기 시작하면 좋겠지만 인생이 모두 그렇게 계획한 대로 되지 않습니다. 사정상 학업을 더 연장할 수도 있고 취업이 잘되지 않아 취준생이 될 수도 있는데 경제적인 상황이 어렵다 보면 바로 대출금을 상환하기가 힘듭니다.

 

학자금 대출은 연체 시 강제징수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연체를 미리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학자금 대출 상환 유예 제도


만일 학자금 대출의 납부 기한이 지나지 않았다면 상환 유예 제도의 이용이 가능합니다. 국세청에서 의무 상한액을 정해서 보내는 '원천공제 통지서''납부고지서'의 기한을 확인하면 됩니다.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상환 유예 제도 (출처 : 국세청 블로그)

 

대학생들은 4년 동안, 취업준비·실직·폐업·휴직 등으로 경제적 사정이 곤란한 경우 2년 동안 상환을 유예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일로부터 2년 혹은 4년이 지난날이 속하는 해의 말일까지 납부하면 됩니다.

ex) 납부통지서의 경우, 납부기한이 2022년 6월 30일까지라면 상환 유예 신청 기간은 2021년 6월 1일~2022년 6월 27일까지 가능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상환 유예 제도 (출처 : 국세청 블로그)

 

2022년 1월에 상환 유예를 신청해서 승인받았다면 신청일로부터 2년이 지난날이 속하는 해의 말일까지로 납부기한 연장되기 때문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납부하면 됩니다.

 

대학생의 경우 4년이기 때문에 위의 같은 날 상환 유예 신청을 해서 승인받았다면 신청일로부터 4년이 지난날이 속하는 해의 말일까지로 연장되므로, 2026년 12월 31일까지 납부하면 됩니다.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상환 유예 제도 (출처 : 국세청 블로그)

 

대학생이 취업 준비하는 동안 학자금 대출 상환으로 부담 갖지 않도록 기회가 될 것이고 경제적 사정이 어려워진 경우에도 의무상환액을 미납하여 연체금이 붙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 기간 동안 돈을 모으거나 재취업 노력으로 대출금 상환을 준비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그 밖에 납부기한 연장 신청


상환이 어려운 경우 납부기한 등 연장 신청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상환 유예 요건에 해당하지 않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 해당한다면 납부기한 등의 연장을 신청할 수 있고 최장 9개월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① 채무자가 재난 또는 도난으로 재산에 심한 손실을 입은 경우
② 채무자가 경영하는 사업에 현저한 손실이 발생하거나 부도 또는 도산의 우려가 있는 경우
③ 채무자 또는 그 동거가족이 질병이나 중상해로 6개월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 또는 사망하여 상중(喪中)인 경우
④ 그 밖에 채무자가 의무상환액을 납부기한 등까지 납부하기 어렵다고 인정되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나라에서 운영하는 대출의 경우 생각보다 개인의 사정을 고려해 연장이나 이자율을 낮추는 방법이 많이 있으니 잘 알아보고 이용하기 바랍니다.

 

 

가스보일러 절약 방법, 난방비 아끼는 방법

보일러 절약 방법, 겨울철 난방비 아끼는 방법 예전에는 기름보일러를 많이 사용했었는데 난방비가 장난이 아니었죠. 요즘은 가스보일러가 보편화되어서 겨울철 난방비가 많이 절감되었습니

sodam80.tistory.com

반응형


댓글